제리 로이스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리 로이스터는 미국의 야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3루수 포지션으로 선수 생활을 했으며, 2007년 롯데 자이언츠의 감독으로 부임하여 KBO 리그 최초의 외국인 감독이 되었다. 선수 시절에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등에서 활약했고, 지도자로서 밀워키 브루어스 감독, 롯데 자이언츠 감독 등을 역임했다. 롯데 자이언츠 감독 시절에는 3년 연속 포스트 시즌 진출을 이끌었으며, '노피어' 야구를 선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밀워키 브루어스 감독 - 네드 요스트
네드 요스트는 1980년부터 1985년까지 MLB 포수로 활동한 미국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밀워키 브루어스와 캔자스시티 로열스의 감독을 역임했으며 특히 2015년 캔자스시티 로열스를 월드 시리즈 우승으로 이끌었다. - 밀워키 브루어스 감독 - 크레이그 카운셀
크레이그 카운셀은 두 번의 월드 시리즈 우승과 2001년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MVP를 수상한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밀워키 브루어스 감독을 거쳐 현재 시카고 컵스 감독을 맡고 있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감독이다. - 롯데 자이언츠 감독 - 김용희 (야구인)
김용희는 1970년대 한국 야구를 대표하는 강타자로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지도자로 변신, 롯데 자이언츠, 삼성 라이온즈, SK 와이번스 등에서 코치와 감독을 역임했으며, 2024년에는 롯데 자이언츠 3군 총괄코치로 합류했다. - 롯데 자이언츠 감독 - 김시진
김시진은 아마추어 시절 뛰어난 투수로서 국제대회에서 활약하고 삼성 라이온즈에서 111승을 기록하며 KBO 리그 최초 개인 통산 100승 및 골든글러브 최우수 투수상을 수상한 후 롯데 자이언츠에서도 활약했으며, 은퇴 후에는 현대 유니콘스 감독으로서 한국시리즈 2회 우승을 이끄는 등 야구 행정 분야에서도 활동한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이자 감독이다. - 새크라멘토 출신 - 로드니 킹
로드니 킹은 1991년 로스앤젤레스 경찰 구타 사건의 피해자로서, 해당 사건은 전국적 논란과 1992년 로스앤젤레스 폭동의 원인이 되었으며, 경찰 폭력과 인종 차별 문제에 대한 논의를 촉발시킨 중요한 사건으로 기록되었으나, 그는 이후 힘든 삶을 살다가 2012년에 사망했다. - 새크라멘토 출신 - 샘 엘리엇
1944년 캘리포니아에서 태어난 미국의 배우 샘 엘리엇은 오리건 대학교 중퇴 후 배우의 꿈을 안고 로스앤젤레스로 이주, 1969년 영화 데뷔 후 서부극을 포함한 다양한 작품에서 활동하며 《스타 이즈 본》으로 남우조연상을 수상하고 《1883》으로 스크린 배우 조합상 남우주연상을 받는 등 폭넓은 연기력으로 인정받고 있다.
제리 로이스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제리 로이스터 |
영어 이름 | Jeron Kennis Royster |
출생일 | 1952년 10월 18일 |
출생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 |
키 | 183cm |
몸무게 | 79kg |
타석 | 우타 |
투구 | 우투 |
수비 위치 | 내야수 |
프로 입단 연도 | 1970년 |
선수 경력 | |
MLB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1973년 ~ 1975년)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1976년 ~ 1984년, 1988년)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1985년 ~ 1986년) 시카고 화이트삭스 (1987년) 뉴욕 양키스 (1987년) |
첫 출장 (MLB) | 1973년 8월 14일 |
마지막 출장 (MLB) | 1988년 9월 28일 |
통계 (MLB) | |
타율 | 0.249 |
홈런 | 40 |
타점 | 352 |
감독 및 코치 경력 | |
코치 | 몬트리올 엑스포스 마이너 수비 및 주루코치 (1999년) 콜로라도 로키스 (1993년) 밀워키 브루어스 (2000년 ~ 2002년) 보스턴 레드삭스 3루 주루코치 (2012년) |
감독 | 밀워키 브루어스 (2002년) 라스베가스 51s (2005년 ~ 2006년) 롯데 자이언츠 (2007년 ~ 2010년) 티그레스 데 킨타나루 (2014년 11월 ~ 현재) |
2. 선수 경력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 출신으로, 선수 시절 주 포지션은 3루수였으나 2루수, 유격수, 외야수 등 다양한 내/외야 포지션을 소화했다. 1970년 17세의 나이에 아마추어 자유 계약 선수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 계약하며 프로 경력을 시작했고, 1973년 8월 14일 메이저 리그에 데뷔했다.[6] 얼마 지나지 않아 6명의 선수가 포함된 트레이드를 통해 애틀랜타 브레이브스로 이적하여 주전 선수로 자리 잡았고, 1976년에는 탑스 올스타 신인 로스터에 선정되기도 했다. 브레이브스에서 9년간 활약한 후, 자유 계약 선수 자격으로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에 합류했다. 이후 시카고 화이트삭스, 뉴욕 양키스를 거쳐 1988년 친정팀인 애틀랜타 브레이브스로 복귀하여 시즌 종료 후 은퇴했다. 메이저 리그에서 총 16시즌 동안 활약했다.
2. 1. 메이저 리그 시절
(내용 없음)2. 1. 1. 선수 시절 상세 기록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크라멘토 출신으로 선수 시절 주 포지션은 3루수였다. 1970년 17세의 나이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 계약했으며, 1973년 8월 14일 정규 경기에 처음 출전했다. 1976년 애틀랜타 브레이브스로 이적했고, 이후 1985년부터 1986년까지는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1987년에는 자유 계약 선수로 시카고 화이트삭스에서 활동했다. 시즌 중이던 1987년 8월 26일, 당시 35세의 나이로 시카고 화이트삭스에서 뉴욕 양키스로 트레이드되었다. 1988년 친정팀인 애틀랜타 브레이브스로 돌아와 그 해 시즌 종료 후 현역에서 은퇴했다.- 1973년 ~ 1975년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1975년 ~ 1984년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트레이드 입단)
- 1985년 ~ 1986년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자유계약선수 자격 입단)
- 1987년 : 시카고 화이트삭스 (자유계약선수 자격 입단)
- 1987년 ~ 1988년 : 뉴욕 양키스 (트레이드 입단)
- 1988년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방출 후 입단)
통산 기록은 1428경기 출전, 4208타수 1049안타, 40홈런, 352타점, 189도루, 타율 .249를 기록했다.[6]
연도 | 나이 | 팀 | 게임수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도루 | 도루자 | 4사구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1973 | 20 | LAD | 10 | 19 | 19 | 1 | 4 | 0 | 0 | 0 | 2 | 1 | 0 | 0 | 5 | 0.211 | 0.211 | 0.211 | 0.421 |
1974 | 21 | 6 | 0 | 0 | 2 | 0 | 0 | 0 | 0 | 0 | 0 | 0 | 0 | 0 | - | - | - | - | |
1975 | 22 | 13 | 37 | 36 | 2 | 9 | 2 | 1 | 0 | 1 | 1 | 0 | 1 | 3 | 0.250 | 0.270 | 0.361 | 0.631 | |
1976 | 23 | ATL | 149 | 605 | 533 | 65 | 132 | 13 | 1 | 5 | 45 | 24 | 13 | 52 | 53 | 0.248 | 0.313 | 0.304 | 0.617 |
1977 | 24 | 140 | 491 | 445 | 64 | 96 | 10 | 2 | 6 | 28 | 28 | 10 | 38 | 67 | 0.216 | 0.278 | 0.288 | 0.566 | |
1978 | 25 | 140 | 600 | 529 | 67 | 137 | 17 | 8 | 2 | 35 | 27 | 17 | 56 | 49 | 0.259 | 0.331 | 0.333 | 0.664 | |
1979 | 26 | 154 | 676 | 601 | 103 | 164 | 25 | 6 | 3 | 51 | 35 | 8 | 62 | 59 | 0.273 | 0.337 | 0.349 | 0.687 | |
1980 | 27 | 123 | 435 | 392 | 42 | 95 | 17 | 5 | 1 | 20 | 22 | 13 | 37 | 48 | 0.242 | 0.309 | 0.319 | 0.627 | |
1981 | 28 | 64 | 105 | 93 | 13 | 19 | 4 | 1 | 0 | 9 | 7 | 5 | 7 | 14 | 0.204 | 0.257 | 0.269 | 0.526 | |
1982 | 29 | 108 | 293 | 261 | 43 | 77 | 13 | 2 | 2 | 25 | 14 | 6 | 22 | 36 | 0.295 | 0.351 | 0.383 | 0.734 | |
1983 | 30 | 91 | 303 | 268 | 32 | 63 | 10 | 3 | 3 | 30 | 11 | 7 | 28 | 35 | 0.235 | 0.305 | 0.328 | 0.634 | |
1984 | 31 | 81 | 247 | 227 | 22 | 47 | 13 | 2 | 1 | 21 | 6 | 4 | 15 | 41 | 0.207 | 0.257 | 0.295 | 0.552 | |
1985 | 32 | SD | 90 | 287 | 249 | 31 | 70 | 13 | 2 | 5 | 31 | 6 | 5 | 32 | 31 | 0.281 | 0.363 | 0.410 | 0.772 |
1986 | 33 | 118 | 298 | 257 | 31 | 66 | 12 | 0 | 5 | 26 | 3 | 5 | 32 | 45 | 0.257 | 0.336 | 0.362 | 0.697 | |
1987 | 34 | CHW | 55 | 178 | 154 | 25 | 37 | 11 | 0 | 7 | 23 | 2 | 1 | 19 | 28 | 0.240 | 0.324 | 0.448 | 0.772 |
1987 | 34 | NYY | 18 | 47 | 42 | 1 | 15 | 2 | 0 | 0 | 4 | 2 | 1 | 4 | 4 | 0.357 | 0.413 | 0.405 | 0.818 |
1988 | 35 | ATL | 68 | 111 | 102 | 8 | 18 | 3 | 0 | 0 | 1 | 0 | 0 | 6 | 16 | 0.176 | 0.222 | 0.206 | 0.428 |
16 시즌 | 1428 | 4732 | 4208 | 552 | 1049 | 165 | 33 | 40 | 352 | 189 | 95 | 411 | 534 | 0.249 | 0.315 | 0.333 | 0.648 |
선수 은퇴 후 지도자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1999년 몬트리올 엑스포스 산하 마이너 리그 팀에서 수비 및 주루 코치를 맡았고, 2000년부터 2001년까지는 밀워키 브루어스의 타격 코치로 활동했다. 2002년에는 시즌 도중 밀워키 브루어스의 감독으로 임명되었으나, 팀 성적 부진으로 인해 시즌 종료 후 해임되었다.
3. 지도자 경력
이후 2003년부터 2004년까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산하 마이너 리그 수비 코디네이터를 지냈고, 2005년부터 2006년까지는 다저스 산하 트리플 A 팀인 라스베이거스 51s의 감독을 역임했다.
2007년 시즌 종료 후, 대한민국 프로야구 KBO 리그의 롯데 자이언츠 감독으로 부임하여 KBO 리그 역사상 최초의 외국인 감독이 되었다.[4][1][2] 로이스터 감독은 '노 피어(No Fear)'를 내세우며 자신감 있는 야구를 팀에 이식했고, 2008년부터 2010년까지 롯데 자이언츠를 구단 역사상 최초로 3년 연속 포스트시즌에 진출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2008년에는 팀을 8년 만에 포스트시즌으로 이끈 공로로 명예 부산 시민증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3년 연속 준플레이오프에서 탈락한 뒤 2010년 시즌 종료 후 롯데 자이언츠와의 계약이 연장되지 않아 팀을 떠났다.
롯데 자이언츠 감독 퇴임 후 미국으로 돌아가 2011년부터 2012년까지 보스턴 레드삭스의 3루 코치를 맡았다.
3. 1. 메이저 리그 코치 시절
선수 은퇴 후, 로이스터는 베로 비치 다저스에서 코치 생활을 시작했으며, 이후 콜로라도 로키스의 3루 코치를 맡았다.
메이저 리그 및 마이너 리그에서의 주요 코치 및 감독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 | 팀 | 직책 |
---|---|---|
1999년 | 몬트리올 엑스포스 (마이너리그) | 수비·주루 코치 |
2000년 ~ 2001년 | 밀워키 브루어스 | 타격 코치 |
2002년 | 밀워키 브루어스 | 코치 → 감독 대행 → 감독 |
2003년 ~ 2004년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마이너리그) | 수비 코디네이터 |
2005년 ~ 2006년 | 라스베이거스 51s (마이너리그) | 감독 |
2011년 ~ 2012년 | 보스턴 레드삭스 | 3루 코치 |
2002년에는 밀워키 브루어스에서 데이브 로페스 감독 밑에서 코치로 시즌을 시작했으나, 시즌 15경기 만에 로페스 감독이 해임되면서 임시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2주 후 정식 감독이 되었지만, 그 해 팀은 53승 94패라는 실망스러운 성적을 거두었고, 로이스터는 성적 부진의 책임을 지고 해임되었다.
3. 2. 마이너 리그 감독 시절
1999년 몬트리올 엑스포스 산하 마이너 리그 팀에서 수비 및 주루 코치로 활동했다. 이후 2003년부터 2004년까지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산하 마이너 리그 팀들의 수비 코디네이터를 지냈다.2005년부터 2006년 9월 말까지는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산하 트리플 A 팀인 라스베이거스 51s (현 라스베이거스 에비에이터스)의 감독을 맡았다.
3. 3. 롯데 자이언츠 감독 시절 (2008년 ~ 2010년)
2007년 시즌 종료 후 롯데 자이언츠 감독으로 부임하며 KBO 리그 최초의 외국인 감독이 되었다.[4][1][2] 참고로 롯데 자이언츠는 1984년 일본인 도이 쇼스케를 최초의 외국인 코치(등록명 도위창)로 영입한 바 있다.[5] 로이스터 감독은 '노 피어(No Fear)'라는 슬로건 아래 선수들에게 자신감을 불어넣는 공격적인 야구를 추구했다.부임 첫 해인 2008년에는 롯데 자이언츠를 정규 리그 3위(69승 57패)로 이끌었다. 이는 롯데 자이언츠의 8년 만의 포스트시즌 진출이었으며,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8년 9월 28일 사직야구장에서 열린 시즌 마지막 홈 경기에서 허남식 당시 부산시장으로부터 명예 부산 시민증을 받았다.
로이스터 감독 재임 기간 동안 롯데 자이언츠는 2008년, 2009년, 2010년 3년 연속으로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는데, 이는 구단 역사상 최초의 기록이었다. 2009년에는 정규 리그 4위(66승 67패)를 기록하며 2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했으나, 준플레이오프에서 탈락했다. 2009년 10월, 롯데 자이언츠와 1년 재계약을 맺고 2010년 시즌에도 팀을 이끌었다.
2010년에도 정규 리그 4위로 팀을 3년 연속 포스트시즌으로 이끌었지만, 또다시 준플레이오프의 문턱을 넘지 못했다. 결국 2010년 10월 13일, 준플레이오프에서 두산 베어스에게 패배한 후 롯데 자이언츠는 로이스터 감독과의 계약을 연장하지 않기로 결정했고, 로이스터 감독은 3년간의 롯데 자이언츠 감독 생활을 마감했다.
참조
[1]
뉴스
Ex-Brave Royster now managing in Korea
http://www.ajc.com/b[...]
The Atlanta Journal-Constitution
2008-06-26
[2]
웹사이트
Giants think English to greet new U.S. skipper
http://koreajoongang[...]
[3]
뉴스
로이스터, 보스턴 3루 주루 코치로 ML 복귀
http://osen.mt.co.kr[...]
OSEN
[4]
뉴스
롯데, '최초' 메이저리그 감독 출신 사령탑 영입
https://sports.news.[...]
조이뉴스24
2021-06-23
[5]
뉴스
프로야구 자이언츠 팀 일(日)서 헤드코치 스카웃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2020-09-25
[6]
웹사이트
baseballreference.com
http://www.baseball-[...]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